PB(Private Brand) 상품은 유통업체가 자체적으로 기획하고 제조업체에 생산을 의뢰해 출시하는 상품으로,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소비자들에게 합리적인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PB상품은 전 세계적으로 유통 시장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았으며, 그 역사는 깊고 성공 사례도 다양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PB상품의 역사와 대표적인 성공 사례를 살펴보며, 이들이 어떻게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가치를 제공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PB상품의 역사
1. 세계 최초의 PB상품
PB상품은 1880년 영국의 식품 유통업체 **세인즈베리(Sainsbury)**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세인즈베리는 품질이 뛰어나면서도 저렴한 가격의 상품을 제공하기 위해 자체 브랜드를 개발했습니다. 이후 1920년대 미국에서는 체인스토어의 대형화와 함께 PB상품이 본격적으로 확산되었으며, 유통업체들은 대규모 제조업체에 대항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PB를 적극 활용했습니다.
2. 일본과 한국에서의 발전
일본은 경제 불황 시기에 PB상품을 통해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며 유통업체의 경쟁력을 높였습니다. 한국에서는 1965년 신세계백화점이 판매한 입체 와이셔츠가 최초의 PB상품으로 기록됩니다. 이후 1996년 이마트가 선보인 E-plus 우유를 시작으로 국내 PB시장도 본격적으로 성장했습니다.
🏷️ PB상품의 대표적인 성공사례
1. 코스트코 - 커클랜드 시그니처
코스트코의 PB브랜드 **커클랜드 시그니처(Kirkland Signature)**는 단일 브랜드로 연 매출 580억 달러(약 77조 원)를 기록하며 PB 성공 사례 중 가장 주목받고 있습니다. 코스트코는 품질을 높이고 가격을 낮추는 전략을 통해 소비자 신뢰를 얻었으며, 다양한 제품군을 통합 관리하여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2. 이마트 - 노브랜드, 피코크
한국에서 PB상품 성공 사례로 꼽히는 브랜드는 이마트의 노브랜드입니다. 노브랜드는 "브랜드가 아닌 상품에 집중한다"는 철학 아래 가성비를 강조하며 소비자의 선택을 받았습니다. 별다른 광고 없이도 입소문만으로 매출을 올렸으며, 전문점 사업이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되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 노브랜드(No Brand): 가성비를 강조한 브랜드로, 신선식품, 가공식품, 생활용품 등 500개 이상의 제품군 제공.
- 피코크(Peacock): 프리미엄 간편가정식(HMR) 브랜드로, 다양한 밀키트와 고급스러운 식품군을 포함
3. 롯데마트 - 온리프라이스, 통큰치킨
- 온리프라이스(Only Price): 가공식품과 생활용품 중심의 저렴한 가격대 PB상품.
- 통큰치킨: 2017년 출시된 반값 치킨으로 유명
4. 홈플러스 - 홈플러스 시그니처
- 홈플러스 시그니처: 프리미엄 콘셉트로 리브랜딩된 브랜드로, 1600개 이상의 상품군 보유. 특히 원예용품과 반려동물용품까지 포함
5. 쿠팡 - 곰곰
쿠팡은 자체 브랜드 곰곰을 통해 중소기업과 상생하며 성공적인 사례를 만들었습니다. 특히, 곰곰 순살 고등어 제품은 한때 파산 위기에 처했던 중소기업 등푸른식품을 회생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쿠팡과 협력한 후 등푸른식품은 매출이 4년 만에 29배 증가하며 안정적인 경영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 탐사(Tamsa): 다양한 생활용품 및 식료품 제공.
- 곰곰(Gomgom): 지역 농가와 협력하여 신선식품을 중심으로 한 브랜드
6. 편의점 PB - GS25와 CU, 세븐일레븐
편의점 업계에서도 PB상품이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GS25의 오모리 김치찌개 라면과 CU의 연세우유 크림빵은 각각 컵라면 부문 판매 1위와 품절 사태를 기록하며 소비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이러한 편의점 PB상품은 트렌드 반영과 빠른 상품 기획으로 젊은 소비자층에게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CU
- 헤이루(Heyroo): 다양한 스낵류와 음료를 포함한 자체 브랜드.
- 대표 상품: 콘소메맛 팝콘, 빅 요구르트 (대용량 요구르트로 인기를 끌음).
- GS25
- 대표 상품: 틈새라면 (매운맛 컵라면), 오모리 김치찌개라면, 크리스피 치킨 (맥주 안주로 인기).
- 세븐일레븐
- 대표 상품: 동원참치 라면, 빠삐코 라떼 (추억의 아이스크림 맛 음료).
🏷️ PB상품 성공 요인
PB상품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가격 경쟁력: 유통 과정 축소와 마케팅 비용 절감으로 저렴한 가격에 높은 품질을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 품질 개선: 초기에는 저렴한 가격만 강조했지만, 최근에는 프리미엄 제품군까지 확대되며 품질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 소비자 신뢰: 지속적인 품질 관리와 합리적인 가격 정책으로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얻었습니다.
- 중소기업 상생: 유통사가 중소기업과 협력해 제조를 맡기며 상생 모델을 구축했고, 이는 중소기업의 매출 증가와 해외 진출에도 기여했습니다.
🏷️ PB상품의 미래 전망
PB상품은 단순히 저렴한 대안에서 벗어나 품질과 다양성을 갖춘 프리미엄 제품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시장에서도 K-푸드 열풍과 함께 한국 PB상품이 주목받고 있으며, 국내 편의점들이 해외 진출을 통해 더 많은 기회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유통사와 제조업체 간 협업 모델이 강화된다면 PB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결론
PB상품은 유통업체와 제조업체 간 협력 모델로 시작해 소비자들에게 합리적인 선택지를 제공하며 전 세계적으로 성장해왔습니다. 코스트코의 커클랜드 시그니처부터 한국 이마트의 노브랜드, 쿠팡 곰곰까지 다양한 성공 사례는 PB상품이 단순히 가격 경쟁력뿐 아니라 품질과 혁신으로도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앞으로도 PB시장은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진화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